본문 바로가기

조경

해당화 - 사실 해당은 아름다운 여자를 뜻하기도 한다

반응형


 해당화(海棠花)하는 『해』가 바다의 뜻이고 보면 더 여성적인 맛이 강조된다. 바다 그것은 굽이치는 여자이기 때문이다.
해당화는 바닷가 모래사장에 피어서 멀리는 출렁이는 벽감의 파도와 그리고 가까이는 금싸래기처럼 부서져 반짝이는 모래알 햇볕에 어울리는 까닭에 해당화라는 이름을 얻었다고 짐작된다.
그 꽃잎이 너무 부드럽기에 털처럼 나부끼는 바다바람을 숨쉬기에는 어려움이 없지만 바위 사이를 스치는 바람은 감당하기 어렵다는 말인가. 해당화는 처음부터 끝까지 변함없이 여성스럽다.

 

흔히 보면 십대는 수줍고 이십 대는 발전적으로 여성답고 삼십 대는 대담하고 사십 대는 거칠고 오십 대는 막무가내로 되어 버리는 풍속이 있지만 해당화는 저윽이 이것을 싫어해왔다. 그러한 변화가 와야만 하는 주변 환경요인도 생각해 보았고 여성다움을 굳세게 지키지 못하는 그들 심리의 밑바탕도 생각해본 해당화다.
왜 그들은 꽃처럼 끝내 부드럽고 고요하고 찬란하지 못할까. 무엇 때문에 그와 같이 변하지 않고서는 안되는 것일까. 어느 시대에 있어서나 어느 민족에 있어서나 이것은 같은 경과 상황이었을까. 해당화로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일이다. 한평생을 꽃처럼 보내기에는 도저히 감당할 수 없는 상황이 파도처럼 구비구비 밀어닥치기 때문인가. 그렇다면 그것은 슬픔이 아닐 수 없다. 해당화처럼 지키는 방편은 없을까.


나무 이름에 해자가 붙는 것이 많다. 해석류(海石留)는 동백나무를 뜻하고 해동화(海桐花)는 상록수이고 관목인 돈나무를 말함인데 제주도 동남쪽섬에 흔히 난다. 바닷가를 즐기고 열매 모양이 얼핏 오동나무의 그것에 닮아 있기에 바다 오동(해동) 이란 이름을 얻은 것으로 안다.
바닷가에 나는 해송이 있고 중국사람은 잣나무를 해송자로 말하는데 해송자란 종자 즉 잣을 뜻한다. 앞에 『해』자가 붙은 것은 외국산 또는 다른나라에서 온 것을 뜻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화목기(花木記)에 쓰기를 『나무이름에 바다해자가 들어가는 것은 모두 그것이 해외에서 온 것을 뜻하는 것이다.』라고 했다.

花木記日 以海 爲名者 悉從海外來(화목기일 이해 위명자 실종 해외래)
우리나라의 잣나무 종자는 중국에 종종 보내졌는데 잣나무가 바닷가에 나는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해자가 붙은 것은 이러한 뜻에서가 아닐까.


그러나 해변노간주는 바다에 인연이 있음이 뚜렷하다.
해당화에 가장 가까운 인연을 가진 것은 찔레이다. 그 꽃의 청초함과 꽃색의 선명함과 보기의 앳됨과 색깔의 정열과 찢어질 정도의 부드러움이 모두 서로 닮아 있다. 줄기마다 가지마다 아니 꽃대궁에 이르기까지 가시를 달고 털을 내어 무언가 경계하는 듯한 점도 어느 정도는 닮아있다. 부드러움을 막는 데에는 날카로운 가시가 좋다. 가시와 털은 아름다움을 보호하는데 쓸모가 있다. 해당화는 가시에도 털을 달고 있다. 털을 무척 좋아하는 것이 해당화이다. 해당화의 꽃은 가지 끝에 달리고 붉고 향기가 강하다. 그래서 찔레나 해당화의 꽃잎을 원료로 해서 향수를 만든다.
정다산 선생이 쓰신 아언각비에 다음과 같은 설명이 있다.


『해당에는 몇 가지 종류가 있다. 즉 서부해당(西府海棠), 도라지 해당(枯梗海棠), 수사 해당(垂絲海棠), 모과 해당(木瓜海棠), 추해당(秋海棠), 그리고 황해당(黃海棠)이 그것이다. 나무의 높이가 120자(12장)에 이르는 것이 있다. 창주 해당(昌州海棠)은 줄기 굵기가 두 아름 되는 것이 있다. 화보(花普)에는 "서검(徐儉)은 집 뜰에 해당을 심고 그 나무 위에 원두막을 만들어 손님을 초대하여 등불을 밝히고 그리고 대작을 했다"라고 있다. 이 나무가 얼마나 큰 것인가를 짐작할 수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 사람들은 매괴화를 해당으로 잘못 알고 있으며 또 "금강산 동해 모래사장에 자라고 꽃이 피는데 선홍색으로서 무척 아름답다. 이것이 바로 해당화이다" 라고 하지만 모두 잘못된 것이다.
매괴는 배회화(裴回花)라고도 말하고 혼히 볼 수 있는 것이다. 그것은 가시가 많이 나고 꽃은 장미에 닮아있다.
진 씨 화경에 말하기를 색은 붉은보라로서 모양이 수줍고 향기가 대단하며 건조할수록 향기는 더 강해진다. 이 향기를 부채에 먹이기도 하고 향수 주머니 속에 넣기도 한다. 또 흰 설탕(糖霜)을 만들기도 하는데 조선사람들은 일체 이러한 일을 모르고 있다』

 

위에 든 정다산선생의 기술에 대해서 생각해 볼만한 것이 몇 가지 있다. 첫째로 해당화에 대한 한자명에는 민괴, 매괴, 배회화, 열구, 자객, 이랑초, 매괴 등이 있다.
매괴라 하는 것은 겹해당화를 말함이고 드물게 볼 수 있는데 관상용으로 식재되고 있다. 정다산 선생의 해당화에 대한 설명 중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해당화와는 거리가 먼 것이 있는 듯하다.
그리고 해당화가 대단히 큰나무로 된다는 것도 이해할 수 없다. 아언각비에 기재된 이러한 내용은 중국의 고서에서 그대로 따온 느낌도 없지 않다. 

즉, 紺朱集日 徐儉 家植 海棠 結巢其上 引客登木 而飮(감주집일 서검 가식 해당 결소기상 인객등목 이음)
이라고 있지만 이것은 무언가 우리가 말하는 해당화는 아니다.

 

그리고 군방보에 『해당에는 네 가지 종류가 있는데 모두 목본이고 한편으로 첩경(貼梗)이라고도 부른다. 꽃색은 진한 붉음이고 꽃이 꽃대궁 위에 바짝 붙어 있어서 첩경이란 이름을 얻었다. 꽃 안에는 황금 색깔의 수술이 다발처럼 많이 나므로 수사라는 이름도 얻고 있다. 나뭇가지가 연하고 분홍색의 꽃을 다는 것을 서부해당으로 말한다. 또 모과 해당이라 하는 것은 굵은 열매가 달리는데 모과에 닮아 있고 먹을 수 있다』등등으로 설명은 더 이어진다.
그런데 예전의 시제를 보면 해당화는 시로 많이 읊어지고 있다. 그 중 추해당, 수사 해당 등 더 구체적인 시제가 나타나고 있는 것을 보면 해당화의 종류까지 식별되었던 느낌이 든다.
수사 해당의 아름다움을 칭찬한 것에 『살랑이는 봄바람이 뜰을 지나는데 하늘의 기틀이 묘해서 선녀의 옷자락을 짜고 있다』라는 것이 있다.


요요春風拂苑薔 天機呈巧織仙裳(요요춘풍불원장 천기 정교 직선상)
이때 선녀의 옷감이란 해당화의 꽃을 두고하는 말이다. 얼마나 고우면 선녀의 옷감으로 된단 말인가. 아니 넉넉함이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소식은 해당을 제로 해서 다음과 같이 읊고 있다.
아름다운 빛을 담아 동쪽바람이 실처럼 살랑이고 그윽한 향기는 안개처럼 내려 뿜는데 유난히 달빛 밝구나 오로지 두려워하는 것은 밤이 깊어져 해당화가 잠에 빠질까 하는 것이 은촛대 촛불 높게 밝혀 너의 붉은 치장을 자랑삼아 보노라.
東風요요泛崇光 香霧비비月轉廊(동풍요요범숭광 향무비비월전낭)
只恐衣深花睡去 高燒銀燭照紅粧(지공의심화수거 고소은촉조홍장).

 

아름다운 여인에게도 비겨지는 해당화의 꽃이다. 해당이란 이름아래 많은 시객들은 붓을 들곤 했다. 이 곳에 밤의 상황이 해당화에 어울려서 묘사되고 있는데 해당화가 특히 미모의 여인이라면 그것은 밤에 완상 하는 것이 옳다는 말이다. 촉대의 불을 높이 쳐들어 분홍색 화장을 즐긴다는 것은 무언가 비유 같은 냄새가 짙다.
미인의 아름다움은 깊은 잠에서 깨어나 어시시 눈을 부비면서 반각반수(半覺半睡)의 모습을 보일 때 돋보인다. 가냘픈 미인의 용모는 이때에 절정에 오른다. 해당 수미족(海棠睡未足)이란 바로 이것을 표현한 말이다. 갖 깨어나서 아직 잠을 더 청하고 싶은 하늘하늘하는 해당화는 여러 가지 의미에 통할 수 있다.


해당화에 아직 잠이 모자란다. 이것은 해당화를 의인화한 것이다. 배회화라는 이름이 붙은 연유는 잘 모르겠으나 생각건대 아름다운 여인의 집 주변을 어슬렁거리는 남자의 심정을 가져다 붙인 것이 아닐까. 해당화의 가냘픈 아름다움을 잊지 못해 그 주변을 맴도는 어느 인간상을 연상해 본다. 배회하는 그것도 하나의 즐거움일 수 있다.(其樂也徘徘徊徊) 새들도 저녁때가 되면 집으로 돌아오고 이때 집이 있는 숲을 보면 그 위를 배회하면서 날아본다. 그것은 하나의 즐거움일 수 있다.


翼翼歸鳥 相林徘徊(익익귀조 상림 배회)
해당화가 배회화라는 이름을 얻은 것은 대단히 자랑스러운 일이다.
일본 사람들은 해당화를 하마 나시(濱梨)라고 부른다. 해당화의 분포는 넓은 편이고 사하린, 만주 남쪽 지방, 우스리, 캄착카, 알래스카 등인데 일반적으로 바닷가 모래밭에 잘 난다. 중국에서는 관상용으로 재배도 한다고 하며 그 맑은 향기를 숭상해서 꽃을 차에 넣어 마신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붉은 꽃잎을 따서 밥을 지을 넣어 색깔을 나게 했고 만주에서는 꽃봉오리를 차에 넣었고 매괴 주를 담는데 쓰기도 했다. 이것은 꽃잎을 건조해 소주에 넣는데 술색이 분홍으로 되고 술맛이 강령하다고 한다.

 

책에 『강변에 해당이 많이 나고 꽃잎은 작약처럼 크고 열매는 살구에 닮았고 그 향기가 대단히 짙다』라고 있어서 과일주도 담을 수 있을 것이다. 아이들은 해당화의 열매를 잘 먹는다. 그래서인지 식물학자 윌슨(Wilson)은 이 나무이름을 "바닷가 토마토" (Sea Tomato)라고 불렀다. 열매에 비타민C가 많다고 한다. 해당화의 열매를 한자로는 열구(悅口)라 하는데 그 뜻은 맛이 있다는 것이다.
줄기껍질은 다갈색을 내는 염료로 사용되기도 하고 뿌리로서는 더 진한 색을 할 수 있다. 꽃잎을 짠 물로서도 염색이 되고 다른 물감과 알맞게 섞어서 여러가지 색상을 만들어낼 수 있다.
일본에 이시까와(石川)라는 시인이 있었다. 그는 많은 시를 남기고 27살에 이 상을 떠났다. 그 해당화의 짧은 시 한편을 이 곳에 옮겨본다.

바다내음 가득한 북쪽 명사십리
해당화야 해당화야
올해도 피었는가
올해도 피었는가. 

 

- 출처 - 산림조합중앙회 WEBZINE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