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지 선정과 묘포 시비를 중심으로
5. 수종별 적합비료와 주요비료의 비료 성분
가. 수종별 적합, 복합비료의 결정은 우리 나라의 시비시험 결과를 참조하여 결정하였다.
복합비료 시비량은 대개 Ha당 10포 정도가 적당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나. 우리 나라 주요비료
우리 나라에서 생산되는 주요 비료별 성분과 판매가를 보면 표5와 같다.
다. 기타 비료
우리 나라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지 않으나 묘포 토양의 개량과 묘목 생장증대에 필요한 석회와 고토비료의 종류와 성분량은 아래와 같다.
6. 양료가 결핍되면 어떤 현상이 나타나나 ?
◎질소 - 질소는 단백질 조성의 필수물질이다. 질소가 결핍되면 생장이 왜소하고 잎의 색깔은 담록색,
황색 또는 적색은 띈다 뿌리 발달이 불완전하고 잎이나 싹이 일찍 말라죽는다.
질소를 시비하면 그 효과가 즉각 나타나나 질소의 과다 시용은 비정상적으로
과대 생장을 하여 세포에 즙이 많아지게 되며 결과적으로 세포막을 엷게 하여 건조,
서리 및 병충해 피해에 대한 저항성이 약화된다.
◎인산 - 인산은 증자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나 인산의 결핍은 측아가 퇴화되고 가지와 잎의
발달이 엉성하며 엽병이 이루는 각이 좁고 잎의 뒷면의 옆맥이 자색을 띠며
뿌리조직의 발달이 빈약하다. 인산은 측아와 세근 발달을 촉진시킨다.
◎가리 - 가리는 어린잎 뿌리 끝과 싹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나 가리 결핍은 뿌리와 잎의
발달을 제한시킨다 가리 비료는 질소의 비해를 중화시키고 뿌리가 썩는 것을
막아 주며 서리의 피해를 예방시킨다.
◎석회 - 석회결핍은 조직을 연화시키고 생장이 불량하고 뿌리에 얼룩점이 생긴다.
◎고토 - 고토 결핍은 조기에 낙엽이 지고 황화현상이 나타나며 생장이 불량하게 된다.
7. 시비설계는 어떻게 하나
시비설계를 할려면 먼저 수종별 시비 요소량을 알아야 한다. 시비 요소량은 포장시험에 의하여 계산할 수 있다. 그 예를 간단히 기록한다. 저당한 시비량을 구하기 위하여서는 이론적으로 다음 식에 의하여 산출한다.
A(시비 요소량)=B(흡수량)-C(천연공급량)/D(흡수율)
B=묘목이 일정기간 자라는데 흡수하는 양분량으로 보통 목표로 하는 묘목의 크기에 해당한 것을 식물체 분석을 하여 묘목에 함유한 비료 성분량을 산출한다.
C : 묘포 토양에 있어 양분의 천연 공급량으로 질소의 경우 비료 3요소 시험의 무질소구의 묘목을 식물체 분석을 하여 그 량을 C치로 한다. 인산·가리의 경우도 계산방법은 마찬가지이다. 묘목에 대한 비료 3요을소의 예를 들면 N.P.K구를 100으로 하였을 경우. 무질소구. 무인사구 무가리구의 생장비이다.
상기 표에서 무질소구의 27, 63,·…··이라는 수치는 지력지수 즉 천연공급율이고 3요소구에서 무질소구를 뺀 수치 즉(100-27)은 시비지수이다. 인산 가리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계산된다.
D : 비료의 흡수율로서 시비량의 다소 토양의 성질 기상조건과 육묘 기술에 따라 다르나 평균적으로 질소의 흡수율은 일본의 경우 40∼60%. 인산은 5∼20% 가리는 40∼60%이다.
시비 요소량의 실제 계산 예를 보면 다음 표와 같다.
※ 시비 설계의 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1)「시비 요소량」이 결정되면 비료 종류별로 기비와 추비로 구분하여 비료 종류를 결정한다.
(2) 퇴비는 ㎡당 1-875㎏을 시용하도록 한다.
(3) 토양 비옥도 검정과 묘목의 영양진단의 결과 토양에 결핍된 양묘를 파악하여 토양 비옥도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한다,
만일 토양에 함유된 질소성분이 적정기준량에 미달 됐을 경우는 시비 요소량의 질소분을 증대시켜준다.
(4) 기비와 추비의 배분을 하여 당초 계획대로 한다. 기비와 추비의 비는 질소는 6:4 인산은 10.0(전량기비)가리는 5:5로 한다.
가리를 추비로 한 이유는 앞에서 설명하였다.
(5) 토양이 강산성일 경우는 석회로 산도를 교정하여 준다
원본글 : 산림조합 산림지
관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