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선충

(3)
등산로 아닌 곳으로 오르게 된 청계산은 힘들었다 gis로 데이터를 받아 스마트폰으로 보면서 수목을 찾아 수간주사를 놓았다. 기술의 발전이란 참 편리하다 길이 아닌 곳에 소나무를 찾아 작업 진행 중. 이런 길로 정상까지 소나무에 작업하며 찾아갔다. 등산으로 올라왔으면 왕복 8시간 가까이 안되었을 텐데 작업을 하다 보니 길게 걸었다 아휴 무릎이야~ 정상을 지나서도 1km 정도 더 진행하고 한 코스가 끝났다. 앞으로도 몇 코스 남은 듯
골프장 겨울~봄 사이에 하는 일 소나무 재선충 수간주사 직원들은 추운 날씨에 산타야 되고 칼바람 맞아야 돼서 속으론 ㅡㅡ 이런 표정일지 모르지만 나에게는 직원들이 같이 해주니 좋다. 처인체력단련장 소나무 수간주사를 시행한지 벌써 3일째 이제 1/4 남은 상황에서 정리 글을 남겨봅니다. 목공용 드릴 날과 충전드릴은 작업 준비물 요 녀석은 외부 골프장에서 공수한 예초기용 천공기? 작업 방법은 수목에 45도 방향 사선으로 구멍을 뚫고 수간주사용 약병을 준비합니다 (옛날 압축식 방법을 개선했네요.) 약병의 끝을 손으로 꺾어서 나무에 꼽을 준비 구멍에 약병을 넣고 손으로 눌러주면 뚝 하는 소리가 나면서 압축된 부분 홈에 걸립니다 위 사진이랑 비교해 보시면 한칸 줄어든 것이 보일꺼에요 작업 완료된 모습 예초기에 연결해서 하는 모습 문제점을 기록하자면 목공용 드릴 날은 ..
일반관리와 집약관리를 구분하라 골프장에서 조경관리에 투입되는 예산과 인력은 극히 제한적으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마저도 시즌 중에는 잔디관리 업무를 지원하게 되는 경우를 쉽지 않게 목격하게 된다. 수목은 잔디와는 달리 피해를 입어도 경기 운영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피해도 급격히 발생되는 편이 아니라 조경관리 전담반을 따로 운영하는 골프장이 적고 조경 담당부서를 따로 운영한다 하더라도 명분에만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이 관리 예산과 인력이 매우 부족한 실정에서 조경관리가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일반관리와 집약관리를 구분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일반관리는 관리 영역과 대상을 구분하지 않는 일상적으로 발생되거나 해야 할 관리업무를 지칭하며, 집약관리는 관리 영역과 대상을 구체적으로 구분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