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포지

(2)
묘포토양 시비관리 - 2 포지 선정과 묘포 시비를 중심으로 5. 수종별 적합비료와 주요비료의 비료 성분 가. 수종별 적합, 복합비료의 결정은 우리 나라의 시비시험 결과를 참조하여 결정하였다. 복합비료 시비량은 대개 Ha당 10포 정도가 적당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나. 우리 나라 주요비료 우리 나라에서 생산되는 주요 비료별 성분과 판매가를 보면 표5와 같다. 다. 기타 비료 우리 나라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지 않으나 묘포 토양의 개량과 묘목 생장증대에 필요한 석회와 고토비료의 종류와 성분량은 아래와 같다. 6. 양료가 결핍되면 어떤 현상이 나타나나 ? ◎질소 - 질소는 단백질 조성의 필수물질이다. 질소가 결핍되면 생장이 왜소하고 잎의 색깔은 담록색, 황색 또는 적색은 띈다 뿌리 발달이 불완전하고 잎이나 싹이 일찍 말라죽는다. 질소를..
묘포토양 시비관리 - 1 포지 선정과 묘포 시비를 중심으로 우리 나라 임업통계요람을 보면 매년 성묘가 최소 2억6천만본에서 최대 17억4천만본까지 생산된 예가 있다. 조림용으로 최소한 2억본을 계산하더라도 대단히 많은 량의 묘목이 매년 생산되고 있다. 2억본이라는 묘목이 전부 우량묘가 되기를 바라지만은 필자가 국내 몇 개소의 주요 묘포를 답사해본 결과 실제 묘목의 생장상태는 불량 한편에 속하고 있음을 알았다. 묘목의 생장상태가 불량한 원인은 주로 포지선정과 묘포시비에서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원인은 임업분야가 농업분야에 비해 토양과 비료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데 있다고 생각된다. 예컨데 농업은 일찍부터 그 요구도에 따라 토양과 비료에 대한 연구와 실험을 통하여 그 지식을 습득하여 왔으나 임업에 있어서는 비교적 최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