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
호흡과 파괴력에는 과연 어떤 비밀이 숨겨져 있는 것인가? 유럽이나 미주지역을 비롯해서 세계 각국에서는 중공계 대만 홍콩 계열의 여러무술 시범단의 순회공연을 흔희 볼수있다 이가운데 중국무술 경기공연출단은 특별한 관심을 모은다 이들이 표현하는 대표적인 동작이 "은창자후(銀槍刺喉)" " 흉전격도(胸前擊刀)" 쌍봉관이 (雙峯灌耳)" 등인데 " 은창자후"는 양끝에 예리한 창날이 붙어 있는 나무로된 창을 두사람이 인후(咽喉)에 대고 운기(運氣)하며 서로밀어서 창이 점점 휘어지다가 결국엔 "딱" 소리와 함께 부러지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손은 대지도 않고 서로 버티어 밀게되니 관중은 일어서서 숨을 죽이고 바라보곤 한다. 한편으론 마술이라고 하겠지만 이것은 장기간의 쿵후(功夫)수련에 의한 호흡력과 신체의 일치이며 특별한 수련이라고 하는 흡기 위주의 축력(畜力) 수련을 하고 ..
중국무술과 호흡 간과되기에 더욱 중요한 무술의 각개 동작에는 호흡과의 합리적인 배합이 요구 된다. 이 호흡이 합리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면 연공의 효과를 얻을수 없으며 오히려 신체의 어느특정한 부위에 해를 끼치게 된다 태극권에서는 각 동작마다 개(開)합(合)봉(封)폐(閉)에 적합한 호흡이 채택되고 있으며 공력권에서도 중요시한다사실상 어느문파라고 해서 호흡이 중요시 되지 않는 것은 없으나 평소에 너무 소흘히 생각하게 된다 어떤 문파의 권법을 배운다면 먼저 하나의 기법을 배우고 그 기법을 호흡에 맞추어 실행하며 속도를 터득한 후에 용법과 산수 대타의 기술을 배운다 . 팔극권의 예를 든다면 "숨을 들이 마시며 양팔을 안으로 얼굴 앞에서 교차시키고 오른 무릎을 위로 들어 독립세가 되면서 일순간에 숨을 토하며 발을 내리고 오른 팔굽을 빼내는 요령으로 타..
생명을 유지하는 물질 정.기.신 기라는 것을 한마디로 요약하다면 첫째 인체를 구성하고 생명활동을 유지하시키는 에너지의 흐름을 말하며 둘째 각장부 조직의 생리적 기능 현상을라고 칭하며 심기가 허하다고 하거나 신수기(腎水氣)가 허하다는 식으로 지칭하기도 한다 정.기.신. 은 인체의 생명을 유지하는 물질이며 고대인들은 하늘에 일(日) 월(月) 성(星)의 삼보가 있듯이 인체의 정.기.신.을 삼보라고 표현했다 정이란 인체 중의 엑기스적인 영양 물질이며 에너지 원이라 하겠다넓은 의미로는 신체 전체 기능의 에너지를 뜻하고 좁게는 생식기능의 정을 뜻할수 있다. 정에는 선천적인 정과 후천적인 정이 있는데 선천적이란는 것은 부모로부터 계승한 것으로 에는 남녀 쌍방의 정이 결합하여 생명이 형성 되는데 이 생명력을 신이라 하였다
기공의 기(氣)가 의미하는것이 무엇인가? 무술에서도 기공에서도 의학 에서도 기를 논하고 있으나 명쾌한 답변을 존하지는 못하고 있다 기란 몸으로 만 체득할수 있는것이라고 흔히 말하곤 다. 기란 고대의사람들이 자연현상을 보고 느끼게 된소박한 인식이며 표현이다. 기라는 것은 세상을 구성하고 있는 가장기본적인 물질이며 우주 안에 있는 모든 사물들은 기의 운동변화에 의하여 생성되어지는 것으로 여겼고 이런견해를 의학의 영역에 인용하기 시작한 것이다. 에서는 인간의 생명활동이 기에 의존하고 있다고 하였고 청나라 때 유창(兪昌)이 저술한 에서도 기가 모여서 신체를 이루며 기가 이산(離散)되면 신체가 망(亡: 소멸 죽음) 한다고 적고 있다 가공은 이러한 인체의기를 단련하는 것으로 인체의 기가 다종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그수련 방식도 달리하게 된 것이..
합기 호흡법 방법 과 호흡법(기공) 소개 오래 전부터 마음을 통일하는 방법은 수없이 있어 왔다. 통일이란 힘을 뜻한다. 빛도 모이면 강한 힘을 내듯이 마음도 집중시키면 큰 힘이 생긴다. 정신일도하사불성이란 말과 같이 무슨 일이건 큰 일을 성취시킨 사람은 마음을 집중시키는 방법에 능숙하였다. 종교에 귀의하여 일심으로 기원하는 것도 마음을 통일하는 방법임은 틀림없다. 진실한 신앙에 달한 사람은 그 정신의 위대함이 동서양의 역사를 비추어 보더라도 명백하다. 선이나 요가와 같이 정좌 명상하는 것도 또한 마음을 통일하는 좋은 방법이다. 과학자가 연구에 모든 정신을 집중시키고 또한 농부들이 일심으로 농사에 열중하는 것도 마음을 통일하는 자세다. 그러나 세상에는 한가지 일에 집중할 수 없는 사람이 많다. 자신은 집중했다고 하지만 집중력이 약한 사람이 많다...
기공 - 단전과 진기운행법 건강을 위한 기본 수련 계절과 기후에 따라서 경락의 흐름과 장부臟腑의 활동이 달라진다는 기본적인 생각으로 각각의 도인導因동작을 창안한 것이 중국무술이다. 명나라 때의 적봉수赤鳳髓는 오금희, 팔단금 이외에도 13종류의 입식도인술, 27종류의 좌식도인술, 6종류의 와식도인술을 싣고 있다. 명,청 시대에 가장 널리 알려진 도인술을 꼽는다면 그것은 역근경易筋經이다. 역근경은 13세勢로 구성되어 있는데 역근경 이후 여러 종류의 도인술이 현대화되면서 요가나 체조 등과 연관되어 더욱 간단하고 효과적인 수련법으로 발전하고 있다. 건강을 위한 기본 수련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 기본 수련먼저 바르게 서서 코를 통하여 숨을 들이 쉬고 두 발과 양팔을 몸에 붙인다. 입으로 숨을 내쉬면서 상체를 서서히 앞으로 숙인다. 손바닥이 바닥에 닿게 ..
기(氣)는 세계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물질 기공은 한국과 중국에서 유구한 역사를 지니고 있다. 우리나라의 금강벽화 등 많은 그림과 벽화에서 그 자료를 얻을 수 있다. 중국은 우리나라보다는 훨씬 많은 고증과 서적이 있으며 일찌기 주나라 시대의 金文에 기공에 관한 기록이 있다. 전국시대 초기 출토품인 12면체의 옥주에 조각되어 있다고 한다. 또 중국에 현존하는 가장 오랜 의학고전인 황제내경 중에도 기공에 관한 것이 나와 있고 그 후 각 시대에도 기공에 관해서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나 우리나라에는 아쉽게도 이런 기록을 고전에서 찾기가 힘들다. 기공은 중국에서는 광범위한 대중적 기초를 갖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는 대중적이 아닌 산사 즉 스님네들에게만 비전되어 온 단순성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중국은 옛부터 오늘까지 수천만명이 기공을 단련해 왔고 또 수천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