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스크랩

왜 "이상한 꿈"을 꾸니? 의외로 알려지지 않은 "꿈의 메커니즘"

왜 사람들은 색다른 꿈을 꾸는건가? 좋은 꿈을 꾸어서 기쁘기도 하고, 나쁜 꿈을 꾸고 무서워지기도 하고, 이상한 꿈을 꾸며 자신의 머릿속은 어떻게 되어 있을까 라고 생각하기도 하지요.

꿈

선명한 꿈을 꾸는 것은 잠이 얕은 "렘수면"일 때.

우리가 꾸는 수면시의 꿈이란, 얕은 잠인 렘 수면 때가 대부분입니다. 깊은 논렘 수면시에는 거의 꿈을 꾸지 않습니다.


선명하고 스토리나 움직임이 있는 복잡한 꿈을 꾸는 것은, 렘 수면중이라고 합니다. 논렘 수면시에 꿈은 스토리가 없는 정지화상과 같은 것이 많습니다.


* 렘(REM)이란 급속 안구 운동의 약어로, 이 시기에는 안구가 활발하게 움직여, 뇌의 활동도 각성시와 같은 수준으로 높아진다고 합니다.

임의의 기억

꿈은"임의의 기억"을 연결해 맞추어 형성되어있다.

뇌에 묻혀 있는 과거의 기억 속에서 우연히 나타난 것이 결합되어, 스토리화되어 꿈이 됩니다.


꿈은 뇌에 새겨진 기억을 섞어서 합성하고 또 상상을 더한 것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현실의 세계가 뇌의 회로를 통해 기억되고, 그 기억이 변형되어 꿈으로서 되살아나는 것입니다.


뇌가 쉴 수 있는 수면중에 꿈을 꾼 것에 의해서, 처음으로 대뇌에 입력된 다양한 정보를 정리할 수 있습니다.

악몽

반복적 "악몽" 에는 주의.

악몽의 대부분은, 전혀 문제가 없는"보통 악몽"이지만, 그 중에는 마음의 문제가 숨어 있는 것도 있다고 합니다.


꿈의 연구를 실시하는 IASD에 의하면 큰 수술이나 사랑하는 사람의 상실, 큰 사고의 목격 등 트라우마가 되는 마음의 부담은 악몽의 원인이 된다고 합니다.

영상

뇌 속에서는 실제로 영상이 흐르고 있다.

꿈을 꾸고 있을 때, 우리의 뇌는 자발적으로 리얼한 화상을 만들어, 그것을 눈으로 뒤쫓아 보고 있다. 꿈은 바로 자기자신이 만드는 궁극의 가상현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시각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지만 청각·촉각·미각·운동 감각 등을 동반하기도 한다.


꿈을 꾸는 시간과 꿈속의 시간의 길이는 거의 일치하고 있어, 통계적으로는 차이가 없다고 생각되는 수준에 있다. 그러나 극히 일부에 실제 시간과는 극단적으로 동떨어진 하나의 긴 꿈 같은 것이 존재하고 있다.

흑백꿈

꿈은 흑백? 아니면 컬러?

미국에서 1300명을 대상으로 한 꿈의 색깔에 대한 조사 결과 칼라 꿈을 꾸고 있는 사람의 비율은 30세 이하는 80%, 60대 사람은 20%였다고 합니다.


이유까지는 명확하지 않지만 통계상으로는 컬러 꿈을 꾸는건 여성이 많은 것 같아요.


사물을 깊이 생각하는 좌뇌타입은 흑백의 꿈, 상상 하는 힘이 강한 우뇌타입은 컬러의 꿈을 꾸고 있다고 합니다.

생각

꿈을 잃어버리는 원인은.

꿈을 꾸고 나서 아침 일어날 때까지 시간이 비기 때문에 사이에 논렘 수면이 들어가 잊어버린다고 생각되고 있습니다.


꿈을 잊지 않으면 현실과 혼동하는 일상 생활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고 생각되고 있습니다.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을 경우 기억에 없는것이 아닐까요? 기억은 인간이 살기 위해서 존재하고 있지만, 꿈속의 현상이나 행동은 현실의 삶과 동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출처 : https://matome.naver.jp/wellness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