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양도소득세3

주식을 통해 처음 내보는 양도소득세 기록용으로 남겨본다 시장이 좋아 마이너스 통장을 이용해 수익을 보았는데 그게 화근이 되어 지금은 물려있다 욕심인 걸 알면서도 또 벌 수 있다는 착각에 일을 저질렀다 2022. 5. 23.
주택을 팔 때 알아야 할 세금 - 1세대 1주택 비과세 규정의 기본 1세대 1주택 비과세 규정입니다. 양도소득세는 부동산 등의 양도차익, 즉 판가격-산가격에 매깁니다. 그런데 문제가 있습니다. 내가 사는 주택의 양도소득세입니다. 내가 사는 집을 팔고 다른 집으로 이사를 갈 것이라고 칩시다. 내가 살고 있던 주택을 3억에 사서 5억에 팔았다 한다면, 원칙적으로는 시세차익 2억에 대하여 양도소득세를 부과하여야 합니다. 대략 2억 정도라면 5천만 원 가량의 세액이 나올 수 있는데, 그럼 졸지에 나는 집을 팔아서 받은 대금 5억 중 5천만 원을 내야하기 때문에, 5억짜리 집에서 4억 5천만 원짜리 집으로 이사하여야 하는 것입니다. 아무리 세금이라지만, 불만이 많겠지요. 그래서 마련된 규정이 있습니다. 1세대가 2년간 거주(보유)한 1주택에 대하여는 양도소득세를 과세하지 않는 것.. 2017. 11. 26.
주택 부부 공동명의(공동소유)의 절세효과 많이들 궁금해하시는 주택의 부부 공동명의에 대해 세법상 종합 검토하였습니다. 대개는 부부 공동명의가 양도세나 기타세 측면에서 유리합니다. 다만 증여세 문제가 생길 수 있고, 몇 가지 주의사항이 있으니 이를 유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1. 취득자금의 출처(증여세 문제) 가장 중요한 것은 공동명의로 등기하는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증여세 문제입니다. 부부 각자의 자금을 모아 취득했다면 증여세 문제가 없습니다만 대개는 그렇지 않지요. 부부 1인의 자금으로 취득하여 공동명의로 등기한다면 증여세 문제가 있을 수 있음을 명심하여야 합니다. 부모의 자금으로 취득하여 자녀 명의로 공동 소유하는 부동산도 마찬가지입니다. 부부중 1인의 자금으로 취득하였다고 하더라도 부부는 10년 내 6억 원 까지는 증여세가 과세되지 않으.. 2017. 10.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