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초는 특별한 상황에서 원하지 않는 식물로, 사람들이
관리하는 정원, 논밭, 공원 등에 관리하는 이외의
식물을 말한다 (http://wikipedia.org/wiki/Weed).
예를 들어 양치 식물원에서 할미꽃은 잡초이지만
약용식물원에서 할미꽃은 잡초가 아니다. 일반적으로
잡초는 사람의 영향이 미치는 주택가의 정원, 길가, 빈터,
쓰레기터 등 마을과 논밭 주 변에서 살아가는 식물들로 인식된다.
잡초는 여느 식물들과 다름 없이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한다.
|
생물다양성의 일원 · 초식동물의 먹이 · 토양침식 방지 . 건강하고 비옥한 토양 · 제절 먹거리와 약 · 정원에서 지피식물 |
국립수목원에서는 적절하고 효율적인 잡초관리들 위한 연구들 하고 있습니다. 잡초는 관리대상 이외의 식물을 말하며, 「전시원 기능 증진을 위한 소재식물 특성평가 및 적용」연구과제에서 2015년 잡초를 모니터링 한 결과 128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잡초 중 쇠뜨기, 쑥 등 식재된 식물 보다 생육이 왕성하거나 확산이 빠른 식물과 서양민들레, 미국쑥부쟁이 등의 귀 화식물은 적극적인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또한 자연스럽게 정착한 항모, 좀씀바귀, 돌나물 등은 전시원의 생물다양성 증대와 경관을 유지하는데 활용하고 있습니다.
잡초의 생육지에 따른 구분
도심속 보도 블럭사이, 돌계단 틈바구니에 뿌리를 내려 여리고 작은 꽃을 피우고 열매 를 맺는 식물들이 있다. 사람들의 발길에 아슬아슬하게 견디며 도시에서 살아가는 더 작은 곤충들에게 먹이가 되고 쉼터가 된다.
가락지나물, 개갓냉이, 개망초, 고들빼기, 길글물, 꽃다지, 냉이, 달래, 말똥비름, 민들레, 받음씀바귀 , 뽀리뱅이, 벌씀바귀, 벼룩나물, 벼룩이자리, 별꽃, 새포아풀, 서양민들레, 선개불알풀, 선씀바구 , 쇠뜨기, 양지꽃, 제비꽃, 좀개소시랑개비, 주름잎, 질경이, 향모
잡초 아닌 잡초
숲이 있던 자리에 만들어진 마을과 농경지, 숲 가까운 밭에서 나타나는 잡초 아닌 잡초이다. 숲에서는 야생식물이 되고 숲을 떠나서는 잡초가 된다.
골무꽃, 괴불주머니, 꿀풀, 긴병꽃풀, 나도송이풀, 돌나물, 말똥비름, 미나리냉이, 뱀딸기, 사상자, 새모래덩굴, 솔나물, 오이풀, 짚신나물, 층층이꽃, 큰까치수염, 항유
잡초의 활용에 따른 구분
정원에서 아름다운 잡초 (정원소재로 가치있는 식물)
꽃향유(9~10월 개화, 보라색꽃, 양지), 금창초(5~6월 개화, 보라색꽃, 양지), 민들레(4~5월 개화,노랑색꽃, 양지), 뱀딸기(5~6월 개화, 노랑색꽃, 반음지), 돌나물(5~6월 개화, 노랑색 꽃, 양지/반음지), 석잠풀(6~9월 개화 홍자색꽃, 습한곳, 양지), 솔나물(6~8월 개화, 노랑색꽃, 양지), 쑥부쟁이(7~10월 개화, 연보라색꽃, 양지), 애기똥풀(5~7월 개화, 노랑색꽃, 양지/반음지), 조뱅이(5~8월 개화, 연보라색꽃, 양지)
식탁 위의 잡초
자연의 맛과 건강한 제철 먹거리
개갓냉이(나물), 괭이밥(생채), 꽃다지(생채), 달맞이‘꽃(생채, 꽃차), 닭의장풀(나물, 꽃차), 마디풀(나물), 명아주(숙채, 국), 벼룩나물(나물), 별꽃(나물, 국), 뽀리뱅이(김치, 생즙), 비름(나물, 생즙), 민들레(생채, 생즙), 소리쟁에(국), 쇠무릎(나물, 국, 묵), 쇠비름(생채, 효소), 엉겅퀴(생채), 제비꽃(국, 생채), 점나도나물(나물), 지칭개(생채), 칡(쌈), 토끼풀(생채), 환삼덩굴(생채, 차), 황새냉이(생채, 차), 질경이(국, 생채, 생즙)
몸에 좋은 잡초
예로부터 민간에서 사용한 약용식물 (아래의식물은 다앙한 약리작용 및 입상보고 중 일부만 기재하였으며,약으로 시용할 경우는 용법, 용랑, 약재의혼합 등에 대하여 반드시 전문가(의사, 한의사)와 상의하여야 합니다.)
개똥쑥(구토, 해열, 황달), 개망초(장염, 해독 해열), 고들빼기(건위, 소화작용), 광대나물(관절염, 진통), 괭이밥(소화제, 피부병), 꽃다지(당뇨, 이뇨), 꽃마리(이질, 풍), 꿩의밥(이질, 황달), 냉이(이질, 이뇨), 닭의장풀(해열, 이뇨), 돌나물(황달, 해독), 명아주(장염, 해독), 박주가리(정력증진), 봄맞이(편두통, 해독), 산딸기(강장, 보간신), 새모래덩굴(소염,진통), 쇠별꽃(혈압강하, 폐렴), 여뀌(제충제, 지혈), 이질풀(장염, 지혈), 주름잎(편두통, 화상), 지칭개(지혈, 진정), 차물(야맹증, 이뇨, 황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