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스크랩

INSTAGRAM CEO KEVIN SYSTROM SIMPLE AND COOL!

반응형

감성을 사로잡은 인스타그램의 성공스토리
단순하리만치 간단한 철학이 인스타그램(Instagram)을 세계 제2위의 SNS로 성장시켰다.
2012년 페이스북에 10억 달러(1조 2100억원)에 인수된 인스타그램의 성장비결은 무엇일까?

인스타그램

 

“많은 것을 ‘오케이’ 수준으로 만들기보다 이 세 가지를 ‘완벽하게’ 이루기 위해 정말 노력하고 집중한다.”
인스타그램은 2010년 10월 서비스를 시작했다. 불과 4년만에 전 세계 월간 활동 사용자 수가 3억 명을 돌파했고, 지난해 6월 인스타그램 사용자가 5억 명을 돌파했다. 하루 평균 9천 500만 개의 사진과 영상이 올라온다. 인스타그램이 SNS 거물로 성장할 수 있던 것은 창업주 케빈 시스트롬과 공동 개발자 마이크 크리거의 철학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대학 선후배 사이로 만난 두 사람은 ‘단순함, 신속함, 아름다움’에서 인스타그램의 개발철학을 찾았다. 인스타그램이라는 명칭도 이를 담고 있다. 인스타그램은 즉석에서 사진을 보는 ‘인스턴트(Instant)’와 전보를 보낸다는 ‘텔레그램(Telegram)’의 합성어에서 비롯됐다. 다양한 필터로 효과를 낸 사진과 동영상을 15초 내외로 간편하게 업로드할 수 있다는 간편함이 유저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행동하고 배우면 이후에 그 모든 것이 연결된다. 앞으로의 경험이 쌓여 성공의 밑거름이 될 것이다.”
케빈 시스트롬은 대학시절 틈틈이 웹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파티사진을 공유하는 ‘포토박스’를 만든 뒤 페이스북 창업자 겸 CEO인 마크 저커버그에게서 스카우트 제의를 받았다. 하지만 이를 거절한 시스트롬은 팟캐스팅 업체 오데오(Odeo) 인턴으로 경험을 쌓으며, 트위터 창업주 에반 윌리엄스, 잭 도시와의 교류를 통해 자신만의 사업을 구상했다.


시스트롬은 2010년 50만 달러를 지원받아 벤처기업 모바일 앱 버븐(Burbn)을 창업하여 특정 장소에서 사진을 공유할 수 있는 위치 기반 앱을 만들었다. 버븐은 실패했지만 시스트롬은 이 과정에서 파트너 마이크 크리거를 만났다. 이후 버븐의 실패를 기반으로 단순하고 멋진(Simple and Cool) 인스타그램이 탄생 할 수 있었다.


케빈 시스트롬’s 한마디

인스타그램

 

 

Biz Keyword

* 간결함
때로는 복잡한 기능보다 특징을 간결하게 전달하는 것만으로도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다.

* 경험
다양한 경험은 자신만의 비즈니스를 만들어 가는데 좋은 자양분이다. 경험을 통해 배우고 느낀 점이야말로 사업을 무궁무진하게 펼칠 수 있는 밑거름이다.

 

 

출처 : SEACRET with U

 


 독특한 아이디어로 승부를 본 VIRGIN GROUP SUCCESS STORY

 럭셔리한 브랜드 가치로 완성한 반얀트리의 성공스토리

 패션의 경계를 허무는 예술 COMME des GARCONS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