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디락스 : 빠른 인플레이션 하락, 조기 통화정책 전환(피벗)
연착륙(soft landing) : 빠른 인플레이션 하락, 높은 금리를 지속(higher for longer)
경착륙(hard landing) : 높은 인플레이션 지속, 높은 금리를 지속(higher for longer)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 높은 인플레이션 지속, 조기 통화정책 전환(피벗)
- 위부터 순서대로 위험자산에 유리한 시나리오
- 골디락스와 연착륙은 경기침체를 모면하는 시나리오, 경착륙과 스태그플레이션은 경기침체 시나리오
- 스태그플레이션의 경우, 높은 인플레이션이 지속됨에도 불구하고 연준이 ‘긴급’하게 통화정책을 전환하는 경우가 포함됨(ex. 금융불안정 이슈, 기대인플레이션이 고정되지 못하여 나중에 더 높은 금리인상으로 인한 경기침체 유발)
- 주의 : 연준의 정책과 경제주체의 기대심리가 상호작용한다는 점에 착안할 때 위에 제시된 시나리오가 모든 상황을 설명할 수는 없습니다.
출처 : 오픈톡 / 원스 경제
반응형
'IT >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신 금리 계산모델인 DKW 모형 (1) | 2022.11.22 |
---|---|
골드만삭스 2023년 매크로 전망 보고서(번역기 사용) (1) | 2022.11.21 |
15~20년 동안 구조적으로 상승한 인플레이션과 금융 억압이 있을 것이라고 경고 / 러셀 네이피어(Russell Napier) (0) | 2022.11.20 |
QT QE 관련해서 단순한 궁금증이 있는데요... (0) | 2022.11.17 |
부의풍수 독서 후 정리(집에 적용해 봐야겠다) (0) | 2022.11.13 |